noting

인공지능 시대의 챗GPT와 애플의 현재 - 김대식 교수의 통찰

intro-챗GPT의 탄생과 발전

안녕하세요, KAIST 김대식 교수입니다. 오늘은 인공지능 기술의 최전선인 챗GPT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우선, 작년 11월 30일, 오픈AI에서 챗GPT라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공개했습니다. 사실 챗GPT의 탄생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죠. 이 분야에서는 언어 처리가 상당히 어렵고 항상 많은 난관이 있던 분야였기 때문이에요. 많은 사람들은 인공지능이 마치 영화처럼 자신만의 의지를 갖고 세상을 정복할 날을 막연하게 꿈꾸곤 했죠.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챗GPT는 그러한 기대와 우려를 넘어 인류가 상상하던 것 이상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습니다. 제가 챗GPT를 써본 첫인상은 바로 그 놀라움이었어요. 기존의 AI들이 보여주던 것처럼 기술적으로 너무 많은 기대를 하진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은 그동안 1950년대부터 발전해 오면서도 중요한 문제들을 완벽히 해결하진 못했었거든요. 그런데 챗GPT는 다르더라고요. 정말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했어요. 챗GPT의 실제 사용은 업계와 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저도 이 점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의 역사와 실패의 교훈

인공지능의 역사와 실패의 교훈

인공지능의 역사는 실패의 연속이었습니다. 1950년대부터 우리는 각종 멋진 인공지능의 비전을 품으며 연구를 이어왔지만, 수십 년 동안 언어 처리와 같은 복잡한 문제들은 늘 고난이었죠. 예전에는 고양이와 강아지를 구별하기 위해 규칙 기반으로 접근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던 경험들이 많았습니다. 1980년대에는 '학습 기반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이 등장했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당시 연구자들은 기계에게 현실을 설명하려고 애썼지만, 모든 시도가 결국 실패하고 말았죠. 왜냐하면 인간이 세상을 배우는 방식과 너무 다르기 때문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인간처럼 데이터와 경험을 통해 학습시키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교훈을 얻게 되었어요. 특히, 부모가 아이에게 세상을 말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자극과 경험을 통해 배우게 한다는 발달심리학의 발견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 인공지능은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실패에서 배웠기에 더 나아질 수 있었던 것이죠.

트랜스포머 알고리즘과 자연어 처리의 진화

트랜스포머 알고리즘과 자연어 처리의 진화

2017년에 등장한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구글에서 개발한 이 알고리즘은 말 그대로 게임 체인저였죠. 기존 자연어 처리의 한계는 바로 언어의 순서적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 있었습니다.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순서가 복잡해질수록 이해가 어려워졌던 거죠. 그런데, 트랜스포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의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각 단어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수십만 개의 데이터를 넘어 수천억 개의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죠. 이로 인해, 기계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더욱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큰 데이터 세트의 병렬처리가 가능해지면서 문제의 복잡성도 덜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대기업은 물론이고, 스타트업에서도 이 알고리즘을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AI의 미래와 사회적 영향

AI의 미래와 사회적 영향

인공지능의 발전은 단순히 기술적 진보로 끝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제 AI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시점에 와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기존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이 변화는 단순히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자동화할 수 있는 영역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더 창의적이고 고차원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한 불평등의 심화나 새로운 유형의 윤리적 문제 등은 우리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숙제이기도 하죠. 검색의 시대가 저물고, 대화형 AI가 그 자리를 차지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혁신만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혁신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를 대비하여 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AI를 어떻게 윤리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애플의 현재와 인공지능 전략

애플의 현재와 인공지능 전략

애플은 서풍처럼 빠르게 발전하는 AI 시장에서 다소 조용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애플은 그간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며 하드웨어의 혁신을 이끌어왔지만, AI 분야에서는 다른 IT 기업들에 비해 뚜렷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애플이 AI 분야에서 조심스러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자체 기술 개발보다는 외부 기술 활용에 치중했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의 여러 분야에서 기술의 발전은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공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애플은 주로 폐쇄적인 생태계를 유지하다 보니 이 부분에서의 한계가 드러나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분석이 많습니다. 반면, 애플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매우 중요시하고, 이는 AI에서의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 까다로운 제약 조건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향후 애플이 인공지능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지는 큰 관심사입니다. 다른 기업들이 AI 기술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이끌어가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어떤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할지 기대됩니다.

제목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 (1부) “인공지능 시대에 애플의 움직임이 없는 이유” 처음 듣는 챗GPT 이야기

설명

KAIST김대식 교수가 챗GPT에 대한 책을 쓰게 된 계기부터 챗GPT 기술이 발전되어 온 과정과 활용법까지! 구글은 알고도 숨긴 챗GPT 기술의 A to Z!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 교보: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033281 예스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7499284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1054582&start=slayer #챗gpt #인공지능 #생성ai ★김대식 교수의 추천 도서★ 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7011223

Estimated reading time: 3 min

요약

KAIST 김대식 교수가 인공지능 시대의 챗GPT와 애플이 소극적인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챗GPT의 발전 경과와 그 활용법을 알아보며 인류의 미래에 대해 고찰합니다.

키워드

챗GPT
인공지능
김대식 교수
애플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