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ng

HTTP 1 대 HTTP 2 대 HTTP 3 - 웹 프로토콜의 진화 탐구

intro-HTTP의 개요와 중요성

안녕하세요! 웹 브라우저를 열고 인터넷을 탐험할 때마다 'HTTP'라는 용어를 듣곤 하셨을 거예요.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소통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에요. 초창기에는 단순히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목적이었지만, 요즘에는 이미지, 비디오뿐만 아니라 API 파일 전송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발전했어요. 그렇게 HTML 파일을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받는 과정을 통해 웹 페이지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죠. 이제는 HTTP라는 단어가 익숙하신 분들도 많겠지만, 사실 HTTP 1, HTTP 2, 그리고 최근의 HTTP 3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어요. 이번 글에서는 HTTP의 다양한 버전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그리고 이 프로토콜들이 웹의 성능과 안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꼼꼼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준비되셨죠?

HTTP 1.0과 HTTP 1.1의 역사

HTTP 1.0과 HTTP 1.1의 역사

HTTP의 역사는 199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시작됐답니다. HTTP 1.0이 처음 등장한 시점에서 HTTP는 지금보다 훨씬 단순했는데요. 당시에는 GET 명령어만을 지원하고 헤더나 상태 코드도 없는 아주 기초적인 형태였어요. 다만,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각 요청에 대해 별도의 연결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왕복 지연(라운드 트립 딜레이) 문제가 있었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7년에는 HTTP 1.1이 등장했어요. 연결을 지속할 수 있는 기능과 파이프라인을 통해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어요. 이를 통해 대기 시간이 줄어들고, 초기 웹 페이지 로딩 속도가 비약적으로 개선되었어요. 특히, 더 나은 캐싱과 조건부 요청까지 도입되면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웹사이트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HTTP 1.1의 한계도 드러나기 시작했어요.

HTTP 2의 개선점과 기능

HTTP 2의 개선점과 기능

2015년, HTTP 1.x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 2가 등장했어요. 특히 많이 개선된 점 중 하나는 HTTP 1.x와 달리 바이너리 프레이밍 계층을 사용한다는 점이었죠. 그 덕분에 멀티플렉싱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유롭게 다중화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고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결국 대기 시간을 더 줄이고, 사이트의 로딩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어요. 그리고 '서버 푸시'라는 새로운 기능도 도입돼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기도 전에 서버가 필요한 리소스를 미리 제공할 수 있게 되었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효율이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 HTTP 2는 성능 측면에서 HTTP 1.x에 비해 크게 진보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특히 스트림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페이지에서 중요한 자산을 우선적으로 로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했답니다.

HTTP 3의 혁신과 장점

HTTP 3의 혁신과 장점

HTTP 2에서도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TCP의 한계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 있었는데요. 이런 맥락에서 HTTP 3가 등장했어요. HTTP 3는 TCP 대신 QUI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요, QUIC는 Google이 개발한 프로토콜로 TCP보다 빠른 연결 설정을 지원해요. TCP 헤드 오브 라인 블로킹 이슈를 없애고, 손실 패킷 처리 성능을 크게 개선했죠. 특히 UDP 기반이라 데이터 전송 전 별도의 연결 설정이 필요 없어요. HTTP 3는 이런 점에서 모바일이나 손실이 많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해요.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에서 Wi-Fi와 셀룰러 간에 네트워크를 전환할 때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기존 HTTP 버전들과 달리, HTTP 3는 연결 설정 시 딜레이가 거의 없어 사용자에게 더 매끄러운 웹 경험을 제공해 준답니다.

HTTP의 미래와 진화 방향

HTTP의 미래와 진화 방향

지금까지 HTTP의 여러 버전들을 살펴봤는데요, 그렇다면 HTTP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더 진화하게 될까요? 현재 HTTP 1.1은 여전히 간단한 웹사이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HTTP 2는 다양한 웹 요청의 60% 이상을 처리하는 표준으로 자리 잡았어요. HTTP 3는 아직은 도입 초기 단계지만, Google이나 Cloudflare 같은 대기업들이 앞장서서 채택하는 중이라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어요. 인터넷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요구하는 시대에 발맞춰, HTTP 프로토콜은 그에 맞춰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빠른 연결, 더 높은 보안성, 그리고 보다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목표로 계속해서 변화해 나갈 것이고, 이러한 변화는 웹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할 거예요. 과연 어떤 새로운 기술들이 추가될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제목

HTTP 1 Vs HTTP 2 Vs HTTP 3!

설명

Get a Free System Design PDF with 158 pages by subscribing to our weekly newsletter: https://bit.ly/bytebytegoytTopic Animation tools: Adobe Illustrator and After Effects. Checkout our bestselling System Design Interview books: Volume 1: https://amzn.to/3Ou7gkd Volume 2: https://amzn.to/3HqGozy The digital version of System Design Interview books: https://bit.ly/3mlDSk9 ABOUT US: Covering topics and trends in large-scale system design, from the authors of the best-selling System Design Interview series.

Estimated reading time: 3 min

요약

HTTP 1, HTTP 2, 그리고 HTTP 3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들이 웹의 성능과 안전성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각 프로토콜의 주요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보세요.

키워드

HTTP 1
HTTP 2
HTTP 3
웹 프로토콜
웹 성능
TCP
UDP
웹 보안